혈관성 치매 일으키는 단백질 발견
2015-10-14 20:00:29
조회 992
디지털타임스 2014년 2월 26일 기사에서 발췌한 내용,
혈관성
치매 일으키는 단백질 발견
혈관성 치매는 기억력 등 인지기능과 행동조절에 관여하는 대뇌 주요부분에
뇌혈관질환이 발생해 생기는 치매다. 연구팀이 발견한 단백질은 세포에서 활성산소를 만드는 효소 중의 하나인 NADPH산화효소1(Nox1)이다.
Nox1이 만든 활성산소는 지방과 DNA를 산화해 해마의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퇴행성 신경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만성 대뇌허혈이 활성산소와 연관 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관련기사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22602019954801023





자료실
보건ㆍ간호 분야의 기초의학 및 보건의료영역의 발전에 한국보건기초의학회가 함께 합니다.

14개(1/1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등록일 |
---|---|---|---|---|
![]() |
[링크] 논문유사도 검사
![]() ![]() |
관리자 | 2463 | 2017.06.20 |
![]() |
[양식] 투고 논문 아래한글 프레임
![]() |
관리자 | 2720 | 2016.04.27 |
![]() |
저자 점검표
![]() |
관리자 | 2013 | 2016.03.04 |
![]() |
저작권 이양동의서
![]() |
관리자 | 1729 | 2016.03.04 |
![]() |
학회 서브로고(문서용)
![]() ![]() |
관리자 | 1134 | 2015.11.03 |
![]() |
학회로고 메인로고
![]() ![]() |
관리자 | 1049 | 2015.11.03 |
8 | 파킨슨병이 신경세포가 아닌 신경교세포의 이상으로 발생 | 관리자 | 1529 | 2015.11.20 |
7 | 인터넷 표절검사 무료 사이트 | 용준형 | 3658 | 2015.10.14 |
6 |
‘면역결핍 돼지’ 복제성공, 인간장기 이식해도 거부반응 없어
![]() |
용준형 | 2271 | 2015.10.14 |
5 |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열었다 | 용준형 | 973 | 2015.10.14 |
4 | 병 주고 약 주는…뗄 수 없는 삶의 동반자 | 용준형 | 1415 | 2015.10.14 |
>> | 혈관성 치매 일으키는 단백질 발견 | 용준형 | 993 | 2015.10.14 |
2 |
인체 결합조직 네트워크 - 이용덕교수님
![]() |
용준형 | 1243 | 2015.10.14 |
1 |
Anatomy and Physiology
![]() |
용준형 | 1123 | 2015.10.14 |